결심하고 포기하기를 반복한다면

2024. 1. 25. 18:20[성]장 이야기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SMALL

목표와 계획의 차이

 

일정을 계획할 때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정을 잘게 쪼개어 둠으로써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많은 일을 해야 할 때는 더 잘게 쪼개서 그룹핑이나 분류를 하면 수월합니다.

또한, 목표가 선언되었다고 하더라도 계획을 안 세우고 시작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반면에 잘게 쪼개놓은 계획을 지키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 내에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계획이 없으면 일할 때 성공과 실패가 나뉘며, 목표를 10등분으로 쪼개서 계획을 수립해야해요.

목표를 쪼갠 10등분은 습관을 만들어요.

일상에 이 방법을 적용하면 습관이 되어, 자연스럽게 목표를 이룰 수 있어요.

설득의 심리 저자 로버트 치알디니는 "If, Then, When"이 있는 행동 계획을 반복해야 습관으로 만들어진다고 얘기해요.

모든 목표를 10개의 눈금으로 쪼개고, 하위 계획이 생길 때마다 다시 재분할하면 최종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요.

 

 

 

성장을 위한 조언은?

 

새로운 일을 경험하는 것이 성장에 중요해요.

사람들이 낯선 상황에 들어가야 기존의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답니다.

                               낯선 것을 하는 이유는 정체되지 않기 위해서, 새로운 생각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해요

비싼 낯선 경험보다는 조금 값싼 낯선 경험을 자주 하는 게 좋아요.

 

 

 

 

 

 

왜 인간은 명사를 사용할까?

 

인간은 생각을 줄이기 위해 명사를 사용해요

명사를 사용하면 생각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언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명사는 단순히 묘사하는 것뿐 아니라, 인간의 생각을 제한함으로써 관점을 좁히는 역할도 해요.

덕분에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요.

이렇게 인간은 명사를 통해 생각을 줄이면서, 본질적인 것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요.

 

 

꿈을 실현하는 방법은? 

 

 

                          "너의 꿈이 뭐야?" "교사요." 그럼 마치 자신이 되게 중요한 걸 알고 있고, 그 다음에 생각으로

                      굉장히 확고부동하게 뭔가 목표를 가지거나 계획을 만들어 놓고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지만

            그게 바로 우리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면서 마치 생각하고 있다라고 하는 착각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거에요
                           꿈을 실현하기 위해 명사가 아니라 동사로 '하고 싶다'라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며
                                         미래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것이 필요해요

                  이를 통해 좋은 목표와 계획들을 세울 수 있으며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해요.

728x90
반응형
LIST

'[성]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근 후 보상 심리에 관하여  (0) 2024.02.01
지속 할 수 있는 힘  (1) 2024.01.29
협상의 중요성  (0) 2024.01.19
억만장자들의 모닝 루틴  (0) 2024.01.17
운은 계획에서 비롯된다  (0)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