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20. 19:00ㆍ[시]사 이야기
유럽에서 코로나 이후 관광 수요 급증
유럽은 지난 2023년 코로나 이후 최고의 관광 시즌을 맞이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 관광의 활력으로 지역 경제가 회복되고, 프랑스는 역대급 관광 수입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이탈리아 또한 관광객 수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2019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답니다
이제 코로나는 과거의 일로 남아 있으며, 곧 코로나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요
유럽 관광산업, 합리적인 관광활동이 필요한 이유는?
유럽 관광 산업이 잘 된다는 것은 사실이나, 관광객들이 대거 방문하면서 '너무 많이 왔다'는 문제가 있어요.
관광객들로 인한 물가상승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관광객들은 유럽에서 와인 한잔 [30유로/4만5,000원] 이상의 값이라도 적극 지불하는 반면, 프랑스인들은 이를 자기들도 먹는다는 이유로 거부감을 언급합니다.
유럽 사람들도 '너무 많은 관광객'이 몰려 올 경우 문제 라고 생각하며, 상인들은 '적당한' 경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있어요.
따라서, 좀 더 적절한 기조의 관광활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버투어리즘은 무엇이고, 어떤 문제점이 있나요?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할슈타트란 마을의 관광객 수는 마을 인구보다 많다.
주민들은 본업이나 생활 보장이 필요한데 대중교통 이용이나
물가상승, 쓰레기 문제등 이러한 것들에 대한 시위를 하곤 해요.
이러한 문제점을 넘어서 이제는 오버투어인증제도나 무인 관광객 감지 시스템 등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나가야해요.
오버투어리즘의 패러다임 변화는 어떻게 일어났나요?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유튜버와 틱톡커 들이 많은 관광지를 방문하고,
숙박 플랫폼의 발달로 관광의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었어요.
에어비앤비 등의 숙박 플랫폼은 관광객과 지역민 간의 거리감을 너무나 가깝게 만들었죠
코스 위주의 관광후 외곽의 호텔로 돌아가는 예전의 관광과는 차별화된 관광 경험을 제공하죠.
숙박 플랫폼의 등장으로 어떤 고통이 발생하였는가?
숙박 플랫폼의 등장으로 숙박 시설이 증가하여, 지역민들은 관광객들의 소음과 시끄러움을 견뎌야 했어요.
SNS 발달과 인플루언서의 활동으로 관광객이 몰리는 인기 있는 지역들에서는 관광객 수의 급증과 숙박 기간의 연장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원주민들은 고통을 겪게 되는데
물가 상승과 쓰레기량 증가, 교통체증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소셜미디어 콘텐츠로 발생하는 문제는?
소셜미디어에 사용되는 지역사회 콘텐츠로 인해 현지인들의 갈등이 증가하고 위험부담이 더해져요.
특히, 틱톡커, 유튜버, 스트리머 등이 유명 관광지 등에서도 활동하다보니 많은 이들이 콘텐츠를 찍기 위해 현지 로컬
주민들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거기서 많은 갈등이 생기곤 하죠
또한 인생샷의 구현을 위해 위험한 행동을 촬영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들도
다수 발생해 안전면에서도 위험을 알리고 있습니다
관광과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도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대중 관광의 증가로 인해 어려움이 점점 증가하고 있죠
도시들은 관광객 수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일부 도시에서는 사진 찍기 좋은 포인트를 막기도 해요.
자극적인 매력으로 알려져 있는 도시들은 일부 관광객들로 인해 기분 나쁨을 느끼는 경우도 있어요.
자연환경 파괴와 낯선 관광문화로 로컬들의 생활이 어려워진다는 이야기에요.
관광세 부과 검토 중
이미 많은 나라들이 현재 관광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고
스페인, 발렌시아, 베니스, 맨체스터, 발리 등 여러 도시가 과금할 예정이에요.
관광객들은 일정한 세금을 내고 더 쾌적한 관광을 할수 있다면 긍정적으로 바라 보고있다고 하네요
UN 관광기구 사무총장은 관광객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SNS 및 숙박 공유 업체를 통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어요
'[시]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대선과 중국 (0) | 2024.01.27 |
---|---|
상속세 완화 ? (0) | 2024.01.24 |
승리한 대만 독립 (0) | 2024.01.16 |
목숨을 담보로 하는 출근 (0) | 2024.01.12 |
풀기만 하면 13억 주는 수학문제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