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16. 18:50ㆍ[시]사 이야기
대만 총통 선거, 어떤 후보가 당선됐나?
대만 총통 선거에서 민주진보당 라이칭더 후보가 당선됐어요.
민주 진보당은 대만 독립, 친미적인 입장이고, 국민당은 대만 통일, 중국 친화적인 입장이에요.
민중당은 제 3 정당으로 대만 독립과 통일 수용보다는 경제 측면에 초점을 두었답니다.
대만의 상황이 미국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대만 내에서 대만 독립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엇갈리고 대선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인 것, 그리고 출산율 문제 때문이라고 해요.
이번 대선에서는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라이칭더 후보가 36%로 앞서긴 했지만, 국민당 후보 허우유이는 중국 통일주의를 주장하며 31%의 득표율을 기록, 민주 진보당의 승리의 계기를 마련했죠.
대만식 정체성 강화로 민주진보당의 상승의 이유는?
과거에는 대만인들 중 '나는 중국인이다' 비중이 높았지만, 현재는 '나는 대만인이다' 비중이 상승하면서 중국 인식은 하락했어요.
'나는 중국인이다' 얘기하는 비중은 현재 거의 없는 수준이고, '나는 대만인이다' 비중은 60% 이상 증가했습니다.
2019년 홍콩 시위가 대만인들에게 중국의 평화롭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 것으로 민주진보당의 인기 상승에 기여했어요.
시진핑 주석의 '대만과의 재통합은 역사적 필연성' 발언으로 대만인들의 관심이 상승하였고, 대만 선거에 중국인들의 관심도 높아진 상태입니다.
대만 대선에서 중국의 관여와 관련된 언론 보도
서구 언론들은 중국 주석의 장기 직권을 위해 실질적으로 대만의 통일을 필요로 한다는 이야기를 하며, 중국 경제 둔화와 내부정책으로 인해 해외에서 적을 만드는 전략일 수 있다고 분석했어요.
이에 대한 반가운 기대도 있었으며, 대만 언론에서는 한국과 미국에 대한 파병을 통한 대만의 독립을 위한 싸움을 기대하는 의견도 보도되었어요.
전쟁 발발 시의 경제 영향은?
중국-대만의 전쟁이 발발하면, 글로벌 GDP 10%가 날아갈 것으로 예상돼요요.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금전적 타격으로,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에요요.
러시아와 중국의 군사력 증강 등 전 세계적인 군사적 긴장 상황에서는 전쟁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요
대만 전쟁이 대한민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대만의 전쟁 발발 시 경제 붕괴가 예상됩니다.
대만 전쟁이 일어난 경우 대한민국과 일본의 GDP는 각각 -23%, -13%까지 예상되며,
미국 또한 7%에 가까운하락이 예상되고 있어요
대한민국과 중국의 대립이 예상되며 미국의 개입도 예상되지만, 대한민국이 더 큰 피해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반도체 쇼크로 대한민국이 큰 손실을 볼 이유는?
블룸버그는 세계 반도체 쇼크 예상하며 반도체 산업자체가 멈출 거라 언급했어요.
세계90% 이상의 중요 기업들이 TSMC를 이용하고 있어요.
삼성의 파운드리가 아직 TSMC를 따라잡지 못하고, 기술력이 모자라 대처하기 어려울 거라는 전망인데요
우리나라가 TSMC를 경쟁으로 이기고 일부 대체할 수 있을 때까지 위기가 계속될 수 있어요.
중국은 대만 선거에서 어떤 경고를 전달했나요?
중국은 대만 선거에서 민진당이 승리한다면 평화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경고를 전했어요.
대만 동포들은 대만 독립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올바른 선택을 하기를 바랬지만, 야당의 결정적인 패배로 인해 실망하였죠.
이에 대해 대만은 이미 민주주의의 요새이며, 중국의 전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중국 대 미국 대립에서 대만의 역할은?
중국과 미국의 대립적인 선거에서 대만은 중국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민주주의와 선거 과정을 유지하며 승리를 거두었어요.
중국이 대만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을려면 민주주의와 자유를 존중하고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중국과의 대립으로 인해 중국이 이번 선거에서 패배한 후 반응은 변함이 없으며 대만은 중국의 일부로 인정받는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아요.
이번 대선 후 대만 라이칭더 총통 앞에서는 중국의 위협에 직면해 있어요
대만,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미국을 비롯한 전쟁 지역의 상황에 대해 , 현명한 지도자가 각국을 평화롭게 이끌어 나가길 바라며 전쟁이 없는 미래를 기원합니다
'[시]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완화 ? (0) | 2024.01.24 |
---|---|
오버 투어리즘,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0) | 2024.01.20 |
목숨을 담보로 하는 출근 (0) | 2024.01.12 |
풀기만 하면 13억 주는 수학문제 (0) | 2024.01.08 |
행복지수 최하위 대한민국 (0) | 2023.12.27 |